2022년 적용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실적공사비)중 토목공사의 공통 공사 부분입니다. 흙 쌓기 및 헐기. 방진망, P.P마대 쌓기 및 헐기, 가도수로 설치, 물 푸기, 강관비계, 경사형 가설계단, 강관 동바리, 토류판 설치 및 철거 등 단가 정보.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
2022년 상반기 적용 표준시장단가(실적공사비) 적용공종 및 단가 정보입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제공하였으며 재료비와 경비는 별도입니다. 재료비는 매월마다 변동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 승인을 요하는 건설공사의 예정 가격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합니다.
'Ctrl + F'를 눌러 찾고자 하는 단어를 입력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토목공사 - 공통 공사
■ AA12 흙 쌓기 및 헐기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AA120.10000 | 흙쌓기 및 헐기 | - | m3 | 1,689 | 26% |
【단가정의】
① 이 단가는 가설도로 축조를 위한 흙 쌓기 및 헐기 비용을 포함한다.
② 흙의 다짐 및 운반비용은 제외한다.
■ AA12 방진망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AD130.01000 | 방진망 설치 및 해체 | - | m2 | 3,848 | 95% |
【단가정의】
① 가설울타리 및 가설방음벽 상부에 방진망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설치 틀은 기존 가시설을 활용하며, 그물망 설치/해체를 포함한다.
③ 소모 재료비(철선)는 포함하며, 방진망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 AA21 P.P마대 쌓기 및 헐기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AA210.90000 | P.P마대 쌓기 및 헐기 | 45×70cm | m2 | 46,906 | 90% |
【단가정의】
① 이 단가는 흙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P.P(Poly Propylene) 마대의 제작 및 쌓기, 헐기에 소요되는 비용을 포함한다.
② 조수 및 유수의 영향이 있는 곳에서는 이 단가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 AA22 가도수로 설치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AA220.20000 | 가도수로 설치 | - | m | 1,201 | 9% |
【단가정의】
① 이 단가는 도수로 설치 전에 임시 도수로의 역할 및 비탈면 유실방지를 위한 비용으로 재료비(P.E필름, T=0.1mm W=1.8m), 설치비 및 철거비를 포함한다.
■ AA22 물 푸기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AA220.50000 | 물푸기 | - | hr | 7,270 | 38% |
【단가정의】
① 이 단가는 물 푸기에 소요되는 펌프의 기계경비(연료비, 잡품, 기계 손료), 운반비(목도 운반), 설치비를 포함한다.
② 펌프는 건설용 펌프(자흡식, 파이프 규격 ∅150mm), 동력은 디젤엔진(11.19kw)에 기준한다.
③ 펌프 운전공 비용은 포함하지 않는다.
■ AA31 강관비계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
AA310.01010 | 강관비계 | 10m이하,3개월 이하 | m2 | 19,149 | 72% | |
AA310.01020 | 강관비계 | 10m초과~20m이하, 3개월 이하 |
m2 | 21,460 | 75% | |
AA310.01030 | 강관비계 | 20m초과~30m이하, 3개월 이하 |
m2 | 23,783 | 78% |
【단가정의】
① 강관비계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비계 및 비계발판(이동용 내부계단 포함), 비계 주위 수직보호망(그물망), 안전난간의 설치, 해체 작업을 포함한다.
③ 강관비계(발판, 내부계단, 안전난간 포함)의 재료비를 포함하며, 보호망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④ 설치높이 3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 단가를 적용하지 않는다.
【단가 보정】
- 공사기간이 3개월을 초과하는 경우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강관비계 | 3개월 이하 | 6개월 이하 | 12개월 이하 |
표준시장단가 | 1.00 | 1.16 | 1.47 |
노무비율 | 1.00 | 0.86 | 0.68 |
■ AA31 경사형 가설계단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AA310.02100 | 가설계단 | 경사형, 3개월이하 | m2 | 91,895 | 80% |
【단가정의】
① 경사형 가설계단(가설계단 폭 0.9m 이하)은 높이 6m 이하에서 조립형 발판과 강관을 사용하여 경사 형태로 조립, 설치,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단위는 디딤판의 면적(계단참 포함)을 기준한 것이다.
③ 비계 및 발판, 비계 주위 수직보호망(그물망), 안전난간의 설치, 해체 작업을 포함한다.
④ 가설계단 재료비를 포함하며, 보호망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단가 보정】
- 공사기간이 3개월을 초과하는 경우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경사형 가설계단 | 3개월 이하 | 6개월 이하 | 12개월 이하 |
표준시장단가 | 1.00 | 1.18 | 1.55 |
노무비율 | 1.00 | 0.84 | 0.64 |
■ AA31 타워형 가설계단 / 자재비 제외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AA310.02200 | 가설계단 | 타워형 | m2 | 66,626 | 92% |
【단가정의】
① 일체형 발판과 시스템 서포트를 사용하여 가설계단(가설계단 폭 0.9m 이하)을 타워 형태로 설치 및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단위는 디딤판의 면적(계단참 포함)을 기준한 것이다.
③ 비계 및 발판, 비계 주위 수직보호망(그물망), 안전난간의 설치, 해체 작업을 포함한다.
④ 시스템 비계(일체형 계단 포함), 보호망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 AA31 시스템비계 / 자재비 제외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AA310.02010 | 시스템비계 | 10m이하 | m2 | 12,760 | 97% |
AA310.02020 | 시스템비계 | 10m초과~20m이하 | m2 | 15,558 | 97% |
AA310.02030 | 시스템비계 | 20m초과~30m이하 | m2 | 18,356 | 97% |
【단가정의】
① 시스템비계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비계 및 비계발판(이동용 내부계단 포함), 비계 주위 수직보호망(그물망), 안전난간의 설치, 해체 작업을 포함한다.
③ 시스템 비계(발판/내부계단 포함), 보호망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④ 설치높이 3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 단가를 적용하지 않는다.
■ AA32 강관 동바리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AA321.01120 | 강관동바리 | 2.5m이하, 3개월 이하 |
공m3 | 13,008 | 91% |
AA321.01220 | 강관동바리 | 2.5m초과∼3.5m이하, 3개월 이하 |
공m3 | 14,069 | 93% |
AA321.01320 | 강관동바리 | 3.5m초과∼4.2m이하, 3개월 이하 |
공m3 | 15,182 | 94% |
AA320.51000 | 강관동바리 | 수평연결재, 3개월 이하 |
m2 | 5,332 | 83% |
【단가정의】
① 강관 동바리(설치간격 0.6m 초과)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멍에의 설치, 해체 작업을 포함하며, 동바리 설치를 위한 지반 고르기 및 콘크리트 타설은 제외되어 있다.
③ 재료비(소모 재료비 포함) 및 설치비를 포함한다.
④ 수평 연결재는 1단 설치를 기준한다.
【단가 보정】
- 동바리 설치간격과 및 높이에 따라 위 단가 및 노무비율에 아래 표의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분 | 설치간격 0.6m이하 | 설치간격 0.6m초과 | |
2.5m이하 | 표준시장단가 | 1.24 | 1.00 |
노무비율 | 0.97 | 1.00 | |
2.5m초과 ∼3.5m이하 |
표준시장단가 | 1.23 | 1.00 |
노무비율 | 0.98 | 1.00 | |
3.5m초과 ∼4.2m이하 |
표준시장단가 | 1.22 | 1.00 |
노무비율 | 0.98 | 1.00 |
※ 설치간격은 멍에 간격을 기준한다.
■ AA32 시스템 동바리 / 자재비 제외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AA323.10500 | 시스템 동바리 | 5m이하 | 공m3 | 14,432 | 95% |
AA323.10600 | 시스템 동바리 | 5m초과~10m이하 | 공m3 | 17,443 | 95% |
【단가정의】
① 시스템 동바리(설치간격 0.6m 초과~1.2m 이하)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멍에의 설치, 해체 작업을 포함하며, 동바리 설치를 위한 지반 고르기 및 콘크리트 타설은 제외되어 있다.
③ 시스템 동바리 및 멍에 자재의 구입 및 운반비는 제외되어 있다.
【단가 보정】
- 설치간격에 따라 위 단가 및 노무비율에 아래 표의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설치간격 | 0.6m이하 | 0.6m~1.2m | 1.2m초과 |
표준시장단가 | 1.20 | 1.00 | 0.90 |
노무비율 | 1.00 | 1.00 | 1.00 |
※ 설치간격은 멍에 간격을 기준한다.
■ AE11H파일 항타 및 한발 / 진동식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AE110.10300 | H파일 항타(진동식) | H=300×300,ℓ=3m이하 | 본 | 51,285 | 59% |
AE110.10500 | H파일 항타(진동식) | H=300×300,ℓ=5m이하 | 본 | 61,980 | 58% |
AE110.10800 | H파일 항타(진동식) | H=300×300,ℓ=8m이하 | 본 | 77,504 | 57% |
AE110.11000 | H파일 항타(진동식) | H=300×300,ℓ=10m이하 | 본 | 84,262 | 56% |
AE110.20300 | H파일 항발(진동식) | H=300×300,ℓ=3m이하 | 본 | 40,791 | 47% |
AE110.20500 | H파일 항발(진동식) | H=300×300,ℓ=5m이하 | 본 | 46,107 | 47% |
AE110.20800 | H파일 항발(진동식) | H=300×300,ℓ=8m이하 | 본 | 53,117 | 47% |
AE110.21000 | H파일 항발(진동식) | H=300×300,ℓ=10m이하 | 본 | 60,352 | 47% |
【단가정의】
① 이 단가는 진동식 파일 해머에 의해 H파일을 항타 또는 항발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포함한다.
② 발전비, 인건비, 기계경비를 포함한다.
③ 다음의 사항은 포함되지 않는다.
- H파일 자재구입 및 운반비
- 소운 반용 보조크레인 사용비용
④ 항타 또는 한 발 시 적용기준은 다음에 준한다.
- 파일 근입장(ℓ) : 각 규격별 길이
- 토질 : 사질토 및 역질토
- 파일크기(H) : 300 ×300
- 작업조건은 다음의 장애요인 중 2 항목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에 준하며, 장애요인이 3 항목인 경우는 위 단가의 7%, 4 항목인 경우는 14%를 할증한다.
No | 조건 | 비고 |
1 | 가옥, 철도, 교량, 도로, 시설, 구조물 등에 의한 장애의 정도 | 작업중단의 유무 및 기계의 행동에 제약 |
2 | 현장의 넓이에 의한 작업난이 정도 |
기계의 이동, 널말뚝의 거치장소, 널말뚝의 세워넣기등에 충분한 넓이 부족 |
3 | 비계 상황에 따라 작업에 미치는 정도 |
연약지반등에 있어서 비계의 양부 |
4 | 시공규모 | 시공수량 50본 미만 |
■ AE13 토류판 설치 및 철거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AE300.10300 | 토류판 설치 및 철거(T=6cm) | 3개월미만 | m2 | 51,553 | 60% |
AE300.20300 | 토류판 설치 및 철거(T=8cm) | 3개월미만 | m2 | 57,575 | 53% |
AE300.00300 | 토류판 설치 및 철거(T=10cm) | 3개월미만 | m2 | 64,277 | 48% |
AE300.30300 | 토류판 설치 및 철거(T=12cm) | 3개월미만 | m2 | 69,698 | 44% |
【단가정의】
① 이 단가는 지하 터파기용 흙막이 공사 시 토류판 설치 및 철거에 소요되는 비용을 포함한다.
② 토류판(할증 포함)의 구입 및 운반, 공구 손료, 소운반, 뒤채움 비용을 포함한다.
③ 토류판 설치 규격은 다음 준한다.
토류판 | 규격 |
토류판 설치 및 철거(T=6cm) | 육송, 60×150×2,000 |
토류판 설치 및 철거(T=8cm) | 육송, 80×150×2,000 |
토류판 설치 및 철거(T=10cm) | 육송, 100×150×2,000 |
토류판 설치 및 철거(T=12cm) | 육송, 120×150×2,000 |
④ 공사기간이 3개월 이상인 경우에는 위 단가 및 노무비율에 아래 표의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토류판(T=6cm) | 3개월 미만 | 6개월 미만 | 12개월 미만 |
표준시장단가 | 1 | 1.25 | 1.40 |
노무비율 | 1 | 0.80 | 0.71 |
토류판(T=8cm) | 3개월 미만 | 6개월 미만 | 12개월 미만 |
표준시장단가 | 1 | 1.28 | 1.46 |
노무비율 | 1 | 0.78 | 0.69 |
토류판(T=10cm) | 3개월 미만 | 6개월 미만 | 12개월 미만 |
표준시장단가 | 1 | 1.31 | 1.50 |
노무비율 | 1 | 0.76 | 0.67 |
토류판(T=12cm) | 3개월 미만 | 6개월 미만 | 12개월 미만 |
표준시장단가 | 1 | 1.33 | 1.53 |
노무비율 | 1 | 0.75 | 0.65 |
■ AE14 쉬트파일 항타 및 한발 / 진동식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AE141.40110 | 쉬트파일 항타(전동식) | Type4,ℓ=11m이하 | 본 | 127,583 | 44% |
AE141.40140 | 쉬트파일 항타(전동식) | Type4,ℓ=13m이하 | 본 | 160,114 | 39% |
AE141.40170 | 쉬트파일 항타(전동식) | Type4, ℓ=16m이하 | 본 | 190,156 | 39% |
AE141.40200 | 쉬트파일 항타(전동식) | Type4, ℓ=20m이하 | 본 | 220,201 | 39% |
AE141.30050 | 쉬트파일 항타(전동식) | Type3, ℓ=5m이하 | 본 | 57,120 | 46% |
AE141.30080 | 쉬트파일 항타(전동식) | Type3, ℓ=8m이하 | 본 | 88,879 | 46% |
AE141.30110 | 쉬트파일 항타(전동식) | Type3, ℓ=11m이하 | 본 | 117,489 | 44% |
AE141.30140 | 쉬트파일 항타(전동식) | Type3, ℓ=13m이하 | 본 | 164,915 | 39% |
AE141.30170 | 쉬트파일 항타(전동식) | Type3, ℓ=16m이하 | 본 | 195,511 | 39% |
AE141.30200 | 쉬트파일 항타(전동식) | Type3, ℓ=20m이하 | 본 | 226,097 | 39% |
AE146.40150 | 쉬트파일 항발(전동식) | Type4,ℓ=15m이하 | 본 | 75,270 | 44% |
AE146.40180 | 쉬트파일 항발(전동식) | Type4,ℓ=18m이하 | 본 | 90,105 | 39% |
AE146.30150 | 쉬트파일 항발(전동식) | Type3,ℓ=15m이하 | 본 | 78,448 | 44% |
AE146.30180 | 쉬트파일 항발(전동식) | Type3,ℓ=18m이하 | 본 | 93,763 | 39% |
【단가정의】
① 이 단가는 전동식 진동 파일 해머에 의해 쉬트파일(강널말뚝)을 육상에서 항타 또는 항발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포함한다.
② 발전비, 인건비, 기계경비를 포함한다.
③ 다음의 사항은 포함되지 않는다.
- 쉬트파일 자재구입 및 운반비
- 소운 반용 트럭크레인 사용비용
- 전기 용접에 소요되는 비용
- 직선형 기준틀 제작 및 사용비용
- 쐐기형 쉬트파일 제작 및 사용비용
④ 항타 또는 한 발 시 적용기준은 다음에 준한다.
- 항타 길이(ℓ) : 각 규격별 길이
- 토질 : 점성토
- 쉬트파일 규격은 다음에 준한다.
규격 | 비고 |
쉬트파일 Type3 | 400 × 150 × 13 |
쉬트파일 Type4 | 400 × 170 × 15.5 |
- 작업조건은 다음의 장애요인 중 1 항목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에 준하며, 장애요인이 2 항목인 경우는 6%, 3 항목인 경우는 위 단가의 13%를 할증한다.
No | 조건 | 비고 |
1 | 가옥, 철도, 교량, 도로, 시설, 구조물 등에 의한 장애의 정도 | 작업중단의 유무 및 기계의 행동에 제약 |
2 | 현장의 넓이에 의한 작업난이 정도 |
기계의 이동, 널말뚝의 거치장소, 널말뚝의 세워넣기등에 충분한 넓이 부족 |
3 | 시공규모 | 시공수량 100본 미만 |
2022년 건설공사 표준 시장 단가중 토목공사의 공통 공사 부분에 대한 단가 정보입니다. 파일이 아닌 글로 정보를 남기는 이유는 언제나 검색하여 접근하기 쉽게 웹상에 참고용 자료로 남깁니다.
참고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 총칙(실적공사비 적용방법)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실적공사비) 총칙, 적용범위와 적용방법에 대한 정의입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작성한 표준시장단가를 적용하는 범위와 적용방법, 노무비 할증, 지
ksma.tistory.com
참고
2022년 상반기 건설공사 노임단가(첨부HWP)
2022년 1월 1일부터 적용하는 2022년 상반기 건설공사 노임단가에 대한 정보입니다.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한 자료이며 원본 HWP 파일은 마지막에 첨부하였습니다. 직종 해설과 명칭 변경, 참고사항
ksma.tistory.com
참고
표준 취업규칙 검색 hwp 다운(19노동부 안)
고용 노동부에서 근로조건과 관계 법령이 정하는 최저 기준을 만족하는 표준 취업규칙(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표준 취업규칙의 항목을 검색("Ctrl+F"로 검색)하거나 원본을 hwp 파일로 다운
ksm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