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적용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실적공사비)중 토목공사의 현장타설 콘크리트 공사 부분입니다. 현장타설 콘크리트, 펌프차 이용, 합판 거푸집, 유로폼 거푸집, 강재 거푸집, 문양 거푸집, 철근 가공 조립, 신축이음 등 공종 단가표.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
2022년 상반기 적용 표준시장단가(실적공사비) 적용공종 및 단가 정보입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제공하였으며 재료비와 경비는 별도입니다. 재료비는 매월마다 변동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 승인을 요하는 건설공사의 예정 가격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합니다.
'Ctrl + F'를 눌러 찾고자 하는 단어를 입력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E. 토목공사 - 현장타설 콘크리트 공사
■ EC 콘크리트 타설 / 장비사용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C110.12000 | 콘크리트 타설 장비사용 |
무근콘크리트 | m3 | 23,019 | 80% |
EC220.12000 | 콘크리트 타설 장비사용 |
철근콘크리트 | m3 | 25,991 | 80% |
EC150.12000 | 콘크리트 타설 장비사용 |
소형구조물 | m3 | 41,956 | 80% |
【단가정의】
① 믹서트럭에서 굴삭기로 공급받아 타설 위치에 직접 타설 하는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현장 내 콘크리트 운반, 타설, 다짐, 양생 준비 작업을 포함한다.
③ 레미콘 재료비,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및 표면 마무리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④ 소형 구조물은 개소별 소량(6m3 이하)의 타설 위치가 산재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 EC 콘크리트 타설 / 펌프차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C101.01152 | 무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양호, 100~150m3이하/1회 |
m3 | 13,900 | 67% |
EC101.02152 | 무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보통, 100~150m3이하/1회 |
m3 | 16,029 | 66% |
EC101.03152 | 무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불량, 100~150m3이하/1회 |
m3 | 18,168 | 66% |
EC101.04052 | 무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매우불량, 40~50m3이하/1회 |
m3 | 62,762 | 60% |
EC201.01152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양호, 100~150m3이하/1회 |
m3 | 15,377 | 67% |
EC201.02152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보통, 100~150m3이하/1회 |
m3 | 17,748 | 67% |
EC201.03152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불량, 100~150m3이하/1회 |
m3 | 20,104 | 66% |
EC201.04052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매우불량, 40~50m3이하/1회 |
m3 | 67,985 | 60% |
【단가정의】
① 콘크리트 펌프차(80m3/hr 이상)에 의한 콘크리트의 타설(붐 타설, 슬럼프 15)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단일 구조물의 1회 타설(세팅 및 마감) 비용이며, 작업시간 내에 인접되어 있는 두 개 이상의 구조물을 연속하여 타설 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③ 타설 준비 및 마무리, 펌프차 타설(세팅, 마감), 다짐, 양생 준비 작업을 포함한다.
④ 레미콘 재료비,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및 표면 마무리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⑤ 배관으로 타설해야 할 경우에는 이 단가를 적용하지 않는다.
⑥ 타설 횟수는 설계(시공단계에 따른 타설 위치) 및 시공조건(일 작업시간, 시공 이음, 1회 가능 타설 수량 등)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⑦ 규격별 적용 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유 형 |
양호 | 매트기초 등 펌프차 작업에 제약이 없는 시설물 |
보통 | 벽, 기둥, 보, 슬라브, 교대, 교각 등 일반적인 시설물 |
불량 | 줄기초, 슬래브없는 [월거더]구조의 기둥과 보 등 펌프차 작업에 제약을 받는 타설부위가 좁거나 깊은 시설물 |
매우불량 | 절/성토부 비탈면에 시공되는 구조물로 펌프차의 이동이 빈번하는 등 펌프차 작업에 제약이 매우 큰 시설물 |
【단가 보정】
① 타설 규모 및 슬럼프에 따라 시장단가에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분 (1회 타설규모m3) |
무근콘크리트 타설 | ||||||||
양호 | 보통 | 불량 | 매우불량 |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
표준 시장 단가 |
30이하 | 2.06 | 1.98 | 1.95 | 1.88 | 1.87 | 1.80 | 1.10 | 1.05 |
30~40 | 1.80 | 1.72 | 1.73 | 1.65 | 1.68 | 1.60 | 1.04 | 1.00 | |
40~50 | 1.63 | 1.55 | 1.58 | 1.50 | 1.54 | 1.46 | 1.00 | 0.95 | |
50~70 | 1.44 | 1.37 | 1.42 | 1.34 | 1.39 | 1.32 | 0.95 | 0.90 | |
70~100 | 1.25 | 1.18 | 1.24 | 1.17 | 1.23 | 1.16 | - | ||
100~150 | 1.06 | 1.00 | 1.06 | 1.00 | 1.06 | 1.00 | |||
150~200 | 0.92 | 0.86 | 0.93 | 0.87 | 0.93 | 0.88 | |||
200초과 | 0.83 | 0.77 | 0.84 | 0.78 | 0.85 | 0.79 |
구분 (1회 타설규모m3) |
철근콘크리트 타설 | ||||||||
양호 | 보통 | 불량 | 매우불량 |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
표준 시장 단가 |
30이하 | 1.99 | 1.91 | 1.88 | 1.81 | 1.80 | 1.73 | 1.08 | 1.03 |
30~40 | 1.75 | 1.67 | 1.68 | 1.61 | 1.63 | 1.56 | 1.04 | 0.99 | |
40~50 | 1.59 | 1.51 | 1.54 | 1.47 | 1.51 | 1.43 | 1.00 | 0.95 | |
50~70 | 1.42 | 1.35 | 1.40 | 1.32 | 1.38 | 1.30 | 0.95 | 0.90 | |
70~100 | 1.24 | 1.17 | 1.23 | 1.16 | 1.22 | 1.15 | - | ||
100~150 | 1.06 | 1.00 | 1.06 | 1.00 | 1.06 | 1.00 | |||
150~200 | 0.93 | 0.87 | 0.93 | 0.87 | 0.94 | 0.88 | |||
200초과 | 0.83 | 0.78 | 0.85 | 0.79 | 0.86 | 0.80 |
② 타설규모 및 슬럼프에 따라 노무비율에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분 (1회 타설규모m3) |
무근콘크리트 타설, 철근콘크리트 타설 | ||||||||
양호,보통,불량 | 매우불량 | ||||||||
8~12, 15이상 | 8~12, 15이상 | ||||||||
노무 비율 |
30이하 | 0.88 | 0.95 | ||||||
30~40이하 | 0.90 | 0.98 | |||||||
40~50이하 | 0.92 | 1.00 | |||||||
50~70이하 | 0.94 | 1.03 | |||||||
70~100이하 | 0.97 | - | |||||||
100~150이하 | 1.00 | ||||||||
150~200이하 | 1.03 | ||||||||
200초과 | 1.05 |
■ ED 합판 거푸집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D001.05000 | 합판거푸집 | 제물치장, 0 ∼ 7m |
m2 | 102,568 | 70% |
ED001.04000 | 합판거푸집 | 소규모/매우복잡, 0 ∼ 7m |
m2 | 65,108 | 74% |
ED001.03000 | 합판거푸집 | 복잡, 0 ∼ 7m |
m2 | 57,203 | 74% |
ED001.02000 | 합판거푸집 | 보통, 0 ∼ 7m |
m2 | 41,779 | 70% |
ED001.01000 | 합판거푸집 | 간단, 0 ∼ 7m |
m2 | 36,570 | 70% |
【단가정의】
① 합판 거푸집의 가공, 제작, 설치,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 중 유지보수(청소, 박리제 바름, 거푸집 보수) 작업을 포함한다.
③ 동바리 설치, 면정리(폼타이 홈 메우기, 해체 후 연마) 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④ 거푸집 재료비(재료손율, 할증 포함)는 포함하며, 폼타이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제물치장에 소요되는 볼트, 나무덧쇠, 파이프 등의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⑥ 거푸집 설치높이 7m 이하에 적용하며, 7m 초과 시에는 매 3m 증가마다 노무비에 10%를 가산한다. (현장 여건에 따라 장비가 필요한 경우 양중장비 사용료를 별도 계상하고, 노무비를 가산하지 않는다.)
⑦ 규격별 적용 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전용회수 | 유 형 |
제물치장 | 1~2회 | 제물치장 콘크리트 |
소규모/ 매우복잡 |
2회 | 가로보 등 소규모로 산재되어 있는 구조 교대, 교각, 수문관의 본체 등 매우 복잡한 구조 |
복잡 | 3회 | 교대, 교각, 파라펫트, 날개벽 등 복잡한 벽체 구조 |
보통 | 4회 | 측구, 수로, 우물통 등 일반적인 벽체구조, 교량 슬래브 |
간단 | 6회 | 수문 또는 관의기초, 호안 및 보호공의 기초 등 |
■ ED 유로폼 거푸집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D402.01000 | 유로폼 | 간단, 0∼7m | m2 | 29,093 | 84% |
ED402.02000 | 유로폼 | 보통, 0∼7m | m2 | 33,257 | 84% |
ED402.03000 | 유로폼 | 복잡, 0∼7m | m2 | 43,148 | 84% |
【단가정의】
① 유로폼 패널의 벽체 조립 및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 중 유지보수(청소, 박리제 바름, 거푸집 보수) 작업을 포함한다.
③ 면정리(해체 후 연마) 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④ 거푸집 재료비(재료손율, 할증 포함)는 포함하며, 폼타이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거푸집 설치높이 7m 이하에 적용하며, 7m 초과 시에는 매 3m 증가마다 노무비에 10%를 가산한다. (현장 여건에 따라 장비가 필요한 경우 양중장비 사용료를 별도 계상하고, 노무비를 가산하지 않는다.)
⑥ 규격별 적용 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유 형 |
간 단 | 수문 또는 관의 기초, 매트기초 등 간단한 구조 |
보 통 | 측구, 수로, 옹벽, 일반적인 벽체, 박스 등 |
복 잡 | 교대, 날개벽 등 복잡하고 보강이 많은 구조 또는 폼 타이 시공이 필요한 경우 |
■ ED 강재 거푸집(장비 사용)/ 자재비 제외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D403.04000 | 강재거푸집(장비사용) | 일반 | m2 | 23,039 | 85% |
ED403.05000 | 강재거푸집(장비사용) | 교각 | m2 | 37,420 | 71% |
ED403.06000 | 강재거푸집(장비사용) | 코핑 | m2 | 49,159 | 68% |
【단가정의】
① 강재거푸집의 장비 조합 설치 및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일반 규격은 고소작업이 불필요하고 반복되는 작업(빔 제작 등)을 기준한 것이며, 교각 및 코핑 규격은 교량의 고소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③ 노무비 및 양중장비의 사용료를 포함한다.
④ 강재거푸집의 재료비, 고임 및 쇄기용 목재 손료는 제외되어 있다.
■ ED 문양 거푸집/ 자재비 제외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D405.01000 | 문양거푸집 | 1회 | m2 | 16,895 | 99% |
【단가정의】
① 문양 거푸집(PE패널)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문양거푸집(PE판넬)의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③ 문양 거푸집이 부착되는 거푸집(합판, 유로폼 등)의 재료비와 설치/해체비는 제외되어 있다.
■ EE 철근 가공 및 조립 / 현장 가공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E001.20000 |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 Type-Ⅰ | ton | 586,754 | 89% |
EE001.30000 |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 Type-Ⅱ | ton | 665,526 | 89% |
EE001.40000 |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 Type-Ⅲ | ton | 737,774 | 89% |
【단가정의】
① 철근의 현장 가공 및 조립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철근의 이음(겹이음 또는 기계적 이음), 간격재 설치, 철근 인상작업을 포함한다.
③ 철근의 현장 가공에 사용되는 장비(철근 절단기, 철근 절곡기 등)의 기계경비를 포함한다.
④ 재료의 구입 및 운반비(철근, 이음재(커플러), 간격재), 현장 내 운반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규격별 적용 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유 형 |
Type-Ⅰ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일반적인 토목시설(반중력식 옹벽, L형 옹벽, 교량 슬래브, 매트기초, 수문 등) 나. 특정위치에서 철근의 가공 및 조립이 반복되는 경우 (빔 제작, 철근망 등) |
Type-Ⅱ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복잡한 토목시설(라멘교, 교대, 암거, 지하차도, 부벽식 옹벽 등) 나. 콘크리트대비 소량의 철근이 사용되는 경우(측구/개거, 중력식 옹벽, 일체형 중앙분리대 등) |
Type-Ⅲ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매우 복잡한 토목시설(교각, 구주식 교대 등) 나. 특수 구조시설물에서 철근직경 35mm를 초과하여 인력에 의한 단독시공이 어려운 경우 (원자력 발전소 등 플랜트 구조) |
⑥ 산재되어 있는 소형 구조물(전체 철근량 3 ton미만)에서는 노무비를 30%까지 가산할 수 있다.
■ EE 철근 가공 및 조립 / 공장가공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E001.22000 | 철근 공장가공 및 조립 | Type-Ⅰ | ton | 518,649 | 83% |
EE001.32000 | 철근 공장가공 및 조립 | Type-Ⅱ | ton | 602,489 | 83% |
EE001.42000 | 철근 공장가공 및 조립 | Type-Ⅲ | ton | 688,169 | 83% |
【단가정의】
① 철근의 공장가공 및 현장 조립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철근의 이음(겹이음 또는 기계적 이음), 간격재 설치, 철근 인상작업을 포함한다.
③ 재료의 구입 및 운반비(철근, 이음재(커플러), 간격재), 현장 내 운반비, 시공상세도(Shop Drawing) 작성비는 제외되어 있다.
④ 철근의 나사 가공 등 특수 공장 가공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규격별 적용 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유 형 |
Type-Ⅰ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일반적인 토목시설(반중력식 옹벽, L형 옹벽, 교량 슬래브, 매트기초, 수문 등) 나. 특정위치에서 철근의 가공 및 조립이 반복되는 경우(빔 제작, 철근망 등) |
Type-Ⅱ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복잡한 토목시설(라멘교, 교대, 암거, 지하차도, 부벽식 옹벽 등) 나. 콘크리트대비 소량의 철근이 사용되는 경우(측구/개거, 중력식 옹벽, 일체형 중앙분리대 등) |
Type-Ⅲ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매우 복잡한 토목시설(교각, 구주식 교대 등) 나. 특수 구조시설물에서 철근직경 35mm를 초과하여 인력에 의한 단독시공이 어려운 경우 (원자력 발전소 등 플랜트 구조) |
■ EF53 지수판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F530.02000 | 지수판/소켓식 | 200×5t | m | 16,953 | 97% |
【단가정의】
① 지수판 연결재(소켓 사용)를 활용한 지수판 설치를 기준한 것이다.
② 지수판 절단 및 설치, 마감 작업을 포함한다.
③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 EF 신축이음(Expansion Joint)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F800.01000 | 신축이음 설치 | 다웰바 | ea(개) | 10,743 | 97% |
EF300.00100 | 신축이음 설치 | 채움재 | m2 | 7,237 | 97% |
EF700.00100 | 신축이음 설치 | 실링마감 | m | 3,781 | 99% |
【단가정의】
① 다웰바(D25, L=1000mm 이하)는 설치간격 150mm를 기준한 것이다.
② 채움재(발포 폴리스티렌)는 두께 20mm 이하를 기준한 것이다.
③ 실링 마감은 V컷팅, 프라이머 바름, 백업해 삽입, 실링재 주입 작업을 포함한다.
④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 ER40 콘크리트 접착제 바르기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R400.10000 | 콘크리트 접착제 바르기 | Epoxy 접착제 | m2 | 27,524 | 81% |
【단가정의】
① 신구 콘크리트를 접착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접착제를 바르는 기준이다.
② Epoxy 접착제, 시너 등 신구 콘크리트 접합재료의 구입 및 운반비와 접합에 소요되는 인건비 및 기구 손료를 포함한다.
③ 콘크리트 치핑에 소요되는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 ER40 콘크리트 치핑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R400.20000 | 콘크리트 치핑 | 소형장비 | m2 | 24,847 | 94% |
【단가정의】
① 소형 치핑 장비(소형 브레이커, 치핑기)를 활용한 인력에 의한 작업 기준이다.
② 치핑, 청소 및 정리를 포함하며, 경장비(소형 브레이커, 치핑기 등)의 기계경비를 포함한다.
E 토목공사 중 현장타설 콘크리트 공사의 2022년 건설공사 표준시장 단가표 정보입니다.
-참고
2022년 상반기 건설공사 노임단가(첨부HWP)
2022년 1월 1일부터 적용하는 2022년 상반기 건설공사 노임단가에 대한 정보입니다.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한 자료이며 원본 HWP 파일은 마지막에 첨부하였습니다. 직종 해설과 명칭 변경, 참고사항
ksma.tistory.com
-참고
D2토목-토 공사(터파기, 운반) 2022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표
2022년 적용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실적공사비)중 토목공사의 토 공사 부분입니다. 흙 깍기, 발파암 소할, 기계 터파기, 인력 터파기, 비탈면 고르기, 흙 운반, 흙 운반 보정계수, 토질별 장비계
ksma.tistory.com
-참고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 총칙(실적공사비 적용방법)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실적공사비) 총칙, 적용범위와 적용방법에 대한 정의입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작성한 표준시장단가를 적용하는 범위와 적용방법, 노무비 할증, 지
ksm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