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통계청 연도별 출생아 수와 출산율 자료(1970~2022)

by &38^^@& 2023. 5. 30.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1970년 ~ 2022년까지의 연도별 출생아수와 출산율, 혼인건수와 2022년 지역별 출생아수, 사망자수, 인구증가수, 혼인건수, 이혼건수와 천명당 비율 비교 정보입니다. 그리고 1970~2022년 연도별 출생아수 그래프 다운로드

통계청 연도별 출생아수와 출산율 자료와 그래프 (1970~2022)

 

 

1970년에서 2022년까지 연도별 출생아수, 합계출산율, 혼인건수 통계정보입니다. 합계 출산율은 15세~49세 연령의 가임기 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출산율입니다.

연도 출생아
수(명)
합계
출산율(명)
혼인
건수(건)
1970 1,006,645 4.530 295,137
1971 1,024,773 4.540 239,457
1972 952,780 4.120 244,780
1973 965,521 4.070 259,112
1974 922,823 3.770 259,604
1975 874,030 3.430 283,226
1976 796,331 3.000 285,910
1977 825,339 2.990 303,156
1978 750,728 2.640 343,013
1979 862,669 2.900 353,824
1980 862,835 2.820 403,031
1981 867,409 2.570 406,795
1982 848,312 2.390 387,468
1983 769,155 2.060 412,984
1984 674,793 1.740 385,188
1985 655,489 1.660 384,686
1986 636,019 1.580 390,229
1987 623,831 1.530 390,276
1988 633,092 1.550 410,129
1989 639,431 1.560 410,708
1990 649,738 1.570 399,312
1991 709,275 1.710 416,872
1992 730,678 1.760 419,774
1993 715,826 1.654 402,593
1994 721,185 1.656 393,121
1995 715,020 1.634 398,484
1996 691,226 1.574 434,911
1997 675,394 1.537 388,960
1998 641,594 1.464 373,500
1999 620,668 1.425 360,407
2000 640,089 1.480 332,090
2001 559,934 1.309 318,407
2002 496,911 1.178 304,877
2003 495,036 1.191 302,503
2004 476,958 1.164 308,598
2005 438,707 1.085 314,304
2006 451,759 1.132 330,634
2007 496,822 1.259 343,559
2008 465,892 1.192 327,715
2009 444,849 1.149 309,759
2010 470,171 1.226 326,104
2011 471,265 1.244 329,087
2012 484,550 1.297 327,073
2013 436,455 1.187 322,807
2014 435,435 1.205 305,507
2015 438,420 1.239 302,828
2016 406,243 1.172 281,635
2017 357,771 1.052 264,455
2018 326,822 0.977 257,622
2019 302,676 0.918 239,159
2020 272,337 0.837 213,502
2021 260,500 0.810 192,507
2022 249,000 0.780 191,690

통계청 자료 출처 : 통계청,「인구동향조사」, 2022, 2023.05.30, 출생아수, 합계출산율, 자연증가 등

위의 통계 자료에서 시점을 추가하여 원하는 년도 통계를 추가합니다. 그리고 통계목록 카테고리에서 필요한 통계 정보인 "혼인건수" 등을 추가, 자료를 엑셀로 다운로드하고 필요한 정보만 편집하고 연산하여 만든 자료입니다. 

 

 

인구 총조사 통계자료에 인구동향, 출생아수, 출생 시 체중, 연령, 동거기간, 평균 출생 연령 등 수많은 다양한 통계 자료가 있으며 원하는 통계 자료를 찾거나 조합할 수 있습니다.

 

연도별-출생아수-그래프
연도별 출생아수 그래프

연도별 출생아수 그래프 원본 다운로드

연도별 출생아수 그래프.jpg
0.05MB

 

2022년 지역별 출생아 수 통계

조출생율 등 비율은 천명단 출생률, 사망률, 자연증가율, 혼인율, 이혼율 절대 수치로 시도별 비교에 편리합니다. 부산 지역의 인구 감소가 대도시 중 가장 심각하다는 뉴스가 있는데 아래 자료에도 나타납니다.

 

조출생아율 4.8은 전체 국민 천명당 출생아수가 4.8명이라는 의미입니다. 위의 합계 출산율은 15~49세 가임기 여성만 계산해서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수입니다.

행정구역 출생아수
조출생률
사망자수
조사망률
자연증가수
자연증가율
혼인건수
조혼인율
이혼건수
조이혼율
전국 294,031
4.8
372,828
7.2
-123,795
-2.4
191,690
3.7
93,232
1.8
서울시 42,499
4.5
55,265
5.8
-12,766
-1.3
35,752
3.8
13,174
1.4
부산시 14,127
4.2
27,719
8.3
-13,595
-4.0
10,618
3.2
5,523
1.6
대구시 10,137
4.2
17,574
7.4
-7,434
-3.1
7,497
3.1
3,675
1.5
인천시 14,454
4.9
18,964
6.4
-4,510
-1.5
10,849
3.7
6,045
2.0
광주시 7,448
5.2
9,351
6.5
-1,903
-1.3
4,902
3.4
2,360
1.6
대전시 7,681
5.3
9,291
6.4
-1,610
-1.1
5,662
3.9
2,492
1.7
울산시 5,405
4.8
6,367
5.7
-964
-0.8
4,013
3.6
2,165
1.9
세종시 3,202
8.5
1,672
4.4
1,530
+4.0
1,664
4.4
546
1.4
경기도 75,278
5.5
78,992
5.8
-3,716
-0.2
54,178
4.0
24,864
1.8
강원도 7,275
4.7
15,078
9.8
-7,803
-5.1
5,572
3.6
3,117
2.0
충북 7,456
4.7
14,105
8.8
-6,649
-4.1
6,185
3.8
3,271
2.0
충남 10,216
4.8
19,703
9.3
-9,486
-4.4
8,017
3.8
4,527
2.1
전북 7,027
3.9
17,852
10.0
-10,825
-6.0
5,394
3.0
3,377
1.9
전남 7,896
4.3
20,884
11.4
-12,988
-7.1
6,181
3.3
3,565
1.9
경북 11,313
4.3
27,818
10.6
-16,503
-6.3
8,180
3.1
4,911
1.8
경남 14,019
4.2
27,389
8.3
-13,372
-4.0
10,504
3.1
6,530
1.9
제주시 3,598
5.3
4,801
7.1
-1,203
-1.7
2,718
4.0
1,564
2.3

 

이상은 통계청 연도별 출생아 수와 출산율 자료(1970~2022) 그래프 다운로드 정보입니다.

 

 

통계청 연도별 출생아수와 그래프 엑셀 다운로드

 

통계청 연도별 출생아수와 그래프 엑셀 다운로드

통계청 인구동태 건수 및 동태율 추이 2022년 3월 통계자료로 연도별 출생아수와 합계 출산율 혼인건수 자료입니다. 1970년부터 2021년까지 대한민국 내 출생아수이며 관련 엑셀 자료와 그래프 원

ksma.tistory.com

 

[총인구] 연령별 인구수와 연령별 인구분포(남/여)

 

[총인구]연령별 인구수와 연령별 인구분포(남/여)

통계청 총인구 연령별 남녀 인구수와 연령별 남녀 인구분포 정보입니다. 2020년 통계청 KOSIS 통계 자료로 전국기준 총인구수와 남자 여자 인구수 그리고 연령별 인구분포와 남자 여자 연령별 인

ksma.tistory.com

 

결혼정보회사 등급표와 직업 등급표 15 모음

 

결혼정보회사 등급표와 직업 등급표 15모음

소개팅 어플 회원 등급표와 결혼정보회사 배우자 등급표, 직업 등급표 15단계 세부 직업 모음입니다. 직업의 높고 낮음이 아니라 사람들이 선호하는 직업을 이해하고 직업 선택이나 변경할 때

ksma.tistory.com

 

댓글